-
유효 비트 : 가상메모리의 페이지 테이블에는 페이지가 물리 메모리에 있는지, 스왑 영역에 있는지 표시하기 위해 유효비트를 사용
- 유효비트 0 : 페이지가 메모리에 있다 → 주소필드에 물리 메모리의 프레임 번호 저장
- 유효비트 1 :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다 → 주소필드에 스왑영역의 페이지 주소 저장
-
페이지 부재(page fault) → 인터럽트 발생
- 프로세스가 페이지를 요청했을 때 그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는 상황
-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면 프로세스가 해당 페이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스왑영역에서 물리 메모리로 옮겨야 함
-
페이지 부재 처리 과정
-
- 프로세스가 페이지 3요청하면 페이지 테이블의 유효 비트가 1이므로 페이지 부재 발생
-
- 메모리 관리자는 스왑 영역의 0번에 있는 페이지를 메모리의 비어 있는 프레임인 5로 가져옴(스왑인)
-
- 프레임 5로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넘김

-
페이지 교체
-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면 스왑 영역에 있는 페이지를 메모리의 빈 영역에 올리고 페이지 테이블 갱신(업데이트)
- 빈 프레임이 없을 때는 메모리에 있는 프레임 중 하나를 스왑 영역으로 내보낸 후 해당 페이지를 가져올 수 있음
-
페이지 교체 알고리즘
- 어떤 페이지를 스왑 영역으로 내보낼지 결정하는 알고리즘
-
대상 페이지
-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에 의해 스왑 영역으로 보낼 페이지
-
메모리가 꽉 찬 상태에서 페이지 부재가 발생했을 때 조치